투자가로부터 배우기

투자가 제럴드 로브(Gerald M. Loeb)

hcoo4811 2025. 5. 14. 13:29

 

제럴드 로브(1899~1974)는 20세기 중반 미국의 저명한 투자자이자 금융계 인사입니다.

"투자의 생존법 (The Battle for Investment Survival)"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습니다. 이 책은 출간 이후 수십 년간 투자 고전으로 여겨지며 많은 투자자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로브는 장기 보유를 강조하기보다, 자산 보존시장 상황에 대한 끊임없는 분석을 통해 적극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시장의 변동성을 인정하고, 현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과감한 매도 결정을 내리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매번 가진 돈의 전부를 투자하는 행동은 처음부터 지는 게임을 시작하는 것과 같다" 

이 말은 제럴드 로브가 강조한 자산 보존과 위험 관리의 중요성을 함축합니다.

  1. 유동성의 부재와 기회 상실
    가진 돈 전부를 특정 시점에 투자해 버리면, 예상치 못한 시장 하락 시 추가 매수(물타기 또는 저점 매수)를 통해 평균 단가를 낮추거나 좋은 기회가 왔을 때 투자할 여력(현금)이 전혀 없어집니다. 

  2. 심리적 압박
    투자금 전부를 시장 변동성에 노출한 상태라면 대부분의 투자자는 심한 심리적 압박감을 느끼게 됩니다. 작은 하락에도 불안해져 성급한 판단(패닉 셀링 등)을 내릴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합리적인 투자 결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3.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취약성
    삶에는 갑작스러운 지출(의료비, 실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금 전부를 묶어두면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손해를 보며 투자금을 회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4. 분산 효과 상실
    "전부"를 투자한다는 것은 종종 한두 자산에 집중하는 경향을 띨 수 있습니다. 이는 분산 투자의 이점을 완전히 상실하고 특정 자산의 위험에 취약해지는 결과를 낳습니다.

"지는 게임"이라는 것은 시장의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포기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작부터 유연성, 심리적 안정, 그리고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는 힘을 잃고 시작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얻어야 하는 점

  1. 현금의 중요성 인지
    가치투자자에게 현금은 단순히 쉬는 자금이 아니라 "매수 기회를 기다리는 실탄"입니다. 시장이 과도하게 하락하여 매력적인 가격에 우량 자산을 매수할 기회가 왔을 때, 현금이 없다면 그림의 떡일 뿐입니다. 로브는 시장 하락기에도 살아남고 오히려 기회를 잡기 위해 상당한 비중의 현금을 보유하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2. 분할 매수/매도의 원칙 
    한 번에 전 재산을 투입하기보다는 시장 상황과 자신의 분석에 따라 분할하여 매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매수 평균 단가를 안정시키고 심리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마찬가지로 매도 시점에도 분할 매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자본 보존의 우선순위
    가치투자는 장기 수익을 목표로 하지만, 그보다 먼저 자본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장이 하락할 때는 수익을 내는 것보다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로브는 "생존"을 투자 성공의 최우선 조건으로 보았습니다.

  4. 포트폴리오의 유연성
    시장 환경은 끊임없이 변합니다. 아무리 좋은 자산이라도 과대평가되거나 산업 환경이 변하면 매도하거나 비중을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가진 돈 전부가 묶여 있다면 이러한 유연한 대처가 어렵습니다.

 

제럴드 로브의 명언들

  1. "투자의 첫 번째 목표는 자본을 잃지 않는 것이다. 수익은 그 이후의 문제다."
    • 로브 투자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말로, 시장에서 살아남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수익은 자본을 보존한 후에야 의미가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손실 역시 복리로 불어나기 때문에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투자는 위험 관리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합니다.

  2. "주식 시장에서 가장 위험한 단어는 '이번에는 다르다(This time is different)' 이다."
    • 시장의 역사적 패턴이나 원칙이 이번에는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순간 위험에 빠진다는 경고입니다. 인간의 심리나 시장의 기본 메커니즘은 크게 변하지 않으며, 과거의 거품이나 폭락은 종종 유사한 패턴을 보입니다. 시장의 과열이나 비이성적 행태를 합리화하며 예외라고 생각하는 것은 위험한 착각임을 지적합니다.

  3. "훌륭한 주식이란 오르는 주식이다."
    • 내재가치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다는 로브의 현실적인 시각입니다. 아무리 가치가 뛰어나도 시장에서 인정받고 가격이 오르지 않으면 투자로서 의미가 퇴색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수급과 심리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말합니다.
      (가치 있는 주식이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받고 있거나 받을 가능성이 높을 때 투자해야 한다.)

  4. "현금은 선택의 자유를 준다."
    • "전부 투자"의 위험과 연결되는 명언입니다.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을 때, 시장이 하락하여 자산 가격이 매력적으로 변하거나 새로운 투자 기회가 나타났을 때 즉시 행동에 나설 수 있습니다. 현금은 투자자에게 유연성과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5. "사람들은 종종 자신들이 사야 할 주식은 팔고, 팔아야 할 주식은 산다."
    • 투자자들이 감정에 휘둘려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경향을 비판하는 말입니다. 공포에 질려 저평가된 좋은 주식을 팔아버리거나, 탐욕에 눈이 멀어 고평가된 나쁜 주식을 사들이는 행태를 지적합니다. 성공적인 투자는 감정을 통제하고 합리적인 분석에 기반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워런 버핏 투자 원칙과의 공통점

  1. 자산 보존의 중요성 (Prioritizing Capital Preservation):
    • 원금을 잃지 않는 것을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았습니다. 수익을 내는 것보다 손실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의 기반이 된다는 믿음을 공유했습니다.
  2. 감정 통제의 중요성 (Importance of Emotional Control):
    • 투자 성공은 시장 상황이나 기업 분석만큼이나 투자자 자신의 심리 상태를 관리하는 데 달려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3. 아는 것에 투자 (Investing Within Your Circle of Competence):
    • 투자하려는 대상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투자해야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묻지마 투자나 유행 추종 투자를 경계했습니다.
  4. 집중 투자의 선호 (Preference for Concentration):
    • 두 사람 모두 충분한 분석과 확신이 있다면, 어설픈 분산보다는 엄선된 소수의 투자 대상에 자본을 집중하는 것이 더 나은 성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는 철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