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심리학 4

④ 예측은 틀릴 수 있다!

아침에 출근하려고 현관문을 나서는데, 옆집 사람이 말합니다.“오늘 비 온대요?”하늘을 한번 보더니, “아뇨, 앱엔 흐림인데 비 소식은 없던데요.”라고 말합니다.그래서 우산을 안 들고 나갑니다.하지만, 회사에서 도착할 즈음, 갑자기 폭우가 쏟아집니다.결국 흠뻑 젖은채로 사무실에 돌아오면서 속으로 “앱이 틀렸어. 다음부턴 꼭 챙겨야지.” 라고 중얼거립니다.그런데 다음에도, 또 우산을 안가지고 나갑니다.그리고 비는 또 오고, 또 젖습니다.✔️ 날씨 예보는 틀릴 수 있고, 시장 예측도 틀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산(안전 마진)을 들고 나가야 합니다.비가 오지 않으면 다행이고, 비가 오면 살아남는 사람은 우산을 챙긴 사람입니다. ✅ 정교한 계획이라도 ‘현실’ 앞에선 무용!투자자라면 누구나 계획을 세웁니다.수..

투자이야기 2025.07.11

③💰 수익률은 운, 저축률은 선택일지도...

“높은 수익률만 달성하면 부자가 될 수 있겠지?”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합니다.그래서인지 더 공격적으로, 더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수익률’을 쫓습니다.그런데 수익률은 정말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영역일까요?시장 흐름, 환율, 금리, 유가, 지정학 리스크, 유명 정치인의 발언, 오너리스크…실제로 보면 우리의 통제 밖에 있는 요인들이 대부분의 수익률을 결정하고 있습니다.반면, 저축률은 어떨가요?분명한건 얼마나 소비를 줄이고, 얼마나 저축할지는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선택’입니다. 💡 모건 하우절의 통찰: 수익률보다 저축률이 중요하다『돈의 심리학』에서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높은 수익률을 올리는 것은 로또에 가깝지만,저축률을 높이는 것은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전략이다.”🔑 저축률은 노력과 태도의 문..

투자이야기 2025.07.10

② 당신이 모르는 사이, 돈은 ‘욕망의 게임’이 되고 있는지도.

미래의 행복을 위해 돈을 번다고 하지만,시간이 지날수록 욕망은 커지고, 만족은 짧아지게 됩니다.✔️ 소득은 늘었지만, 여유는 줄었습니다.✔️ 돈은 벌었는데, 불안은 더 커졌습니다.그 이유가 뭘까요?우리는 돈을 '수단'이 아닌 '목표'로 바꾸고 있었고, 그 과정에서 돈은 욕망의 게임이 됩니다. ✅ 모건 하우절이 말한 ‘돈의 진실’✔️ “진짜 부는 당신의 통장 잔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소득과 욕망의 간극 속에서 자라난다.” 고소득자라고 해서 부자인 것은 아닙니다.소비가 크고,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삶을 산다면 실제로는 불안한 가난에 머물러 있을 수 있습니다. ✅ ‘보여주기 위한 소비’가 미래를 갉아먹는다혹시, ‘현재’의 인정을 위해 ‘미래’의 자유를 저당잡히고 있지 않나요?진짜 부자는,- 조용히 자..

투자이야기 2025.07.08

① 돈을 잘 버는 것보다, 잘 지키는 힘이 더 중요!! – 투자 성공의 핵심은 수익률이 아닌 심리다

꾸준히 자산을 늘려온 사람들의 공통점은 더 잘 참아낸 사람들, 더 오래 시장에 남은 사람들, 더 겸손했던 사람들입니다.투자란, 내 안의 탐욕과 두려움을 이기는 싸움입니다. 고수익보다 중요한 ‘심리적 체력’저축률이 자산을 만든다 고수익보다 중요한 ‘심리적 체력’모건 하우절은 『돈의 심리학』에서 이렇게 말합니다.“당신의 재정적 성공은, 수학보다 심리학에 가깝다.”고수익 전략도, 시장 변동 앞에 흔들리는 순간 무용지물이 됩니다. 반대로, 수익률이 평범해도 꾸준히 투자하고 지켜낼 수 있다면 결국 부를 쌓습니다.이것이 돈을 버는 기술보다, 지키는 심리가 더 중요한 이유입니다. 저축률 = ‘자기 통제력’의 지표자신의 월급을 100% 소비하는 사람과, 그중 일부를 꾸준히 저축하는 사람의 차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벌어..

투자이야기 2025.07.06